여수세계섬박람회 앞두고 여수 국제선 뜨나?

홍수민 기자
등록일자 2025-04-07 16:58:01
여수세계섬박람회 앞두고 여수 국제선 뜨나?
내년에 국제행사인 세계섬박람회가 열리는 여수에 국제선 취항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토부도 이 같은 요구에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지면서 전남 동부권의 숙원사업이 해결될지 관심이다.

전남 동부권의 하늘 관문인 여수공항은 관문이라는 표현이 무색하게 노선이 제주와 서울김포 단 두 곳뿐이다. 한 때 1년 이용객이 110만 명에 달했지만 지금은 60만 명으로 줄었다.

내년에 세계섬박람회라는 국제행사도 열리지만 노선이 국내선뿐이다 보니 해외 관광객이 찾아오긴 쉽지 않다.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여수공항에 임시 국제선을 취항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지난 18일 섬조직위원회는 국토교통부를 찾아가 부정기 국제선을 건의했는데,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준 여수세계섬박람회 기획본부장은 "여수공항 부정기 국제선 운항 허가, 그다음에 국내선도 증편 운항 허가를 요청했다. 국토부장관이 섬박람회 성공 개최를 위해서 적극 도와주시기로 했다"고 전했다. 

임시 취항뿐 아니라 이번 박람회를 통해 전남 동부권에 정기 국제선이 생길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수와 순천, 광양 등 70만 명이 넘는 인구가 밀집한 지역이지만 지금은 해외를 나가기 위해 무안공항이나 경남 김해공항까지 차로 2시간을 이동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여수시뿐만 아니라 광양 등 인근 지자체에서도 이번 섬박람회 기간 국제노선 취항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대원 광양시의장은 "해외에 가려면 인천이나 김해까지 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그래서 남해안 남중권 주민들의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해서라도 여수공항의 국제선 취항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여수해양엑스포를 계기로 KTX가 개통돼 전남 동부권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던 것처럼 이번 섬박람회가 전남 동부권의 하늘길을 뚫는 마중물이 될지 관심이다.

홍수민

충북도, 가족친화인증기업 최종 선정

충북
충북도가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에 신청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2년 연속 높은 신청율을 보이고 있는 이 사업은 민생경제 회복 및 가족친화 기업문화 조성에 보탬이 될 예정이다.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은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실천하여 인증을 받은 도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저출생률 위기에 대응하고 임신·출산·육아 친화 기업문화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신설한 사업이다.올해 선정된 27개 기업에게는 사업화, 마케팅, 사업기획, 시설현대화 등 총 4억 원 규모와 기업당 1,500만원 한도 바우처 형식으로 기업수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41

보령시, 2025년도 상반기 민방위 교육 실시

충남
보령시는 민방위 대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사이버교육을 실시한다.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며,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는 교육이 일시 중단된다. 올해 교육 대상은 만 20세(2005년생)부터 만 40세(1985년생)까지로, 1~2년차 대원은 집합교육 4시간, 3~4년차 대원은 사이버교육 2시간, 5년차 이상 대원은 사이버교육 1시간으로 진행된다. 교육 내용은 민방위 기본 소양, 안보, 화생방 등으로 구성되며, 교육과 체험 실습을 병행해 재난·재해 발생 시 민방위대의 초동 대처 능력을 배양한다. 집합교육 및 사이버교육을 이수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오경철 안전총괄과장은 “민방위 교육은 민방위 사태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족과 지역사회를 지키기 위한 필수 교육”이라며 참여를 당부했다.
홍수민 2025-04-30 14:46:33

보령시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시행

경제
보령시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사업을 시행한다. 올해는 총 40대의 전기이륜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보령시에 주소를 둔 16세 이상 개인(사업자) 또는 보령시에 사업자 등록을 한 법인·기관이다. 보조금은 전기이륜차 규모와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최대 지원액은 소형 230만 원, 중형 270만 원, 대형 300만 원 등이다.기존 내연기관 이륜차를 폐차하고 전기이륜차로 교체할 경우 최대 지원액 내에서 국비 30만 원이 추가 지원될 예정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