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 및 전북사랑도민증 전달식이 진행됐다. 지방자치TV 촬영.
대한민국 대표 패션기업인 패션그룹형지의 최병오 회장이 전북특별자치도에 고향사랑기부금으로 2천만 원을 기부했다.
이는 개인 기부 한도액이 5백만 원에서 2천만 원으로 상향된 이후 전북특별자치도에 첫 번째 고액 기부 사례로 기록되며, 지역 사회 발전과 나눔 문화 확산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자신의 고향이나 관심 있는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면, 지자체가 이를 지역 발전과 복지 사업에 활용하는 제도다. 기부자는 연간 2천만 원까지 기부할 수 있으며, 세제 혜택과 지역 특산품 등의 답례품을 받을 수 있다.
최병오 회장은 국내 패션업계를 대표하는 기업인으로, 1982년 의류업에 뛰어든 이후 탁월한 경영 감각으로 패션그룹형지를 일구어냈다.
특히 1996년 여성복 브랜드 ‘크로커다일레이디’를 성공적으로 론칭하며 국내 중장년 여성 패션 시장을 개척했다. 이후 ‘샤트렌’, ‘올리비아하슬러’ 등 다양한 브랜드를 선보이며 대한민국 패션 산업을 이끄는 주요 기업인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밖에 교육과 인재 양성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온 최 회장은 전주대학교와 협력하며 지역 청년들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해왔다. 최병오 회장이 전북에 고향사랑기부금 2천만 원을 기부했다. 지방자치TV 촬영. 최 회장은 이번 기부에 대해 “전북특별자치도가 고향은 아니지만, 각별한 의미를 가진 곳”이라며, “특히 전주대학교와 오랜 기간 협력하며 지역 인재 양성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업의 성장은 사회와 지역사회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며, 이에 대한 보답과 환원은 기업인의 중요한 책임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기부가 전북특별자치도의 발전과 인재 육성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최병오 회장의 나눔과 지역 발전 기여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전북사랑도민증'을 전달했다.
전북사랑도민증은 전북특별자치도에 주소를 두지 않은 사람 중 전북을 사랑하고 응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증서로, 전북 내 주요 문화·관광 시설을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이 제공된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최병오 회장님의 따뜻한 나눔 실천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고향사랑기부제는 지역 발전을 위한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병오 회장님의 기부는 이에 큰 힘이 될 것이다. 이번 기회를 통해 더 많은 분들이 전북특별자치도와 인연을 맺고, 지속적인 관심과 애정을 가져주시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특별자치도는 앞으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인, 출향 인사 등이 참여하는 ‘릴레이 기부 캠페인’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향사랑기부제를 지역 발전의 지속 가능한 재원으로 정착시키고, 전북특별자치도에 대한 관심과 유대를 넓혀나간다는 방침이다.
충북도가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에 신청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2년 연속 높은 신청율을 보이고 있는 이 사업은 민생경제 회복 및 가족친화 기업문화 조성에 보탬이 될 예정이다.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은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실천하여 인증을 받은 도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저출생률 위기에 대응하고 임신·출산·육아 친화 기업문화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신설한 사업이다.올해 선정된 27개 기업에게는 사업화, 마케팅, 사업기획, 시설현대화 등 총 4억 원 규모와 기업당 1,500만원 한도 바우처 형식으로 기업수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보령시는 민방위 대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사이버교육을 실시한다.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며,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는 교육이 일시 중단된다. 올해 교육 대상은 만 20세(2005년생)부터 만 40세(1985년생)까지로, 1~2년차 대원은 집합교육 4시간, 3~4년차 대원은 사이버교육 2시간, 5년차 이상 대원은 사이버교육 1시간으로 진행된다. 교육 내용은 민방위 기본 소양, 안보, 화생방 등으로 구성되며, 교육과 체험 실습을 병행해 재난·재해 발생 시 민방위대의 초동 대처 능력을 배양한다. 집합교육 및 사이버교육을 이수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오경철 안전총괄과장은 “민방위 교육은 민방위 사태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족과 지역사회를 지키기 위한 필수 교육”이라며 참여를 당부했다.
보령시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사업을 시행한다. 올해는 총 40대의 전기이륜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보령시에 주소를 둔 16세 이상 개인(사업자) 또는 보령시에 사업자 등록을 한 법인·기관이다. 보조금은 전기이륜차 규모와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최대 지원액은 소형 230만 원, 중형 270만 원, 대형 300만 원 등이다.기존 내연기관 이륜차를 폐차하고 전기이륜차로 교체할 경우 최대 지원액 내에서 국비 30만 원이 추가 지원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