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고교 무상교육비 지원 거부…"재정 부담"

홍수민 기자
등록일자 2025-02-03 14:52:23
전남 고교 무상교육비 지원 거부…
고등학교 무상교육 비용 지원을 정부가 거부하면서 연간 수백억 원의 예산을 각 교육청이 떠안게 됐다. 광주와 전남교육청은 재정 부담으로 교육사업에 지장이 클 것으로 보고 거듭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고교 무상교육을 국고로 지원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에 대해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각 시·도 교육청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까지 고교 무상 교육비 47.5%를 시·도교육청이, 나머지는 정부와 지자체가 부담해 왔는데 앞으로는 모두 교육청이 부담하라는 것이다.

정부는 각 교육청의 재정 여력이 충분하다며 지난해까지 5년간 유지된 국비 지원의 연장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광주시교육청은 380억 원, 전남은 272억 원을 더 부담해야 할 처지이다.

늘봄과 유보통합 등 새로운 교육사업으로 재원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 무상교육비까지 떠안을 경우 시설 투자나 사업 추진 등의 차질이 우려된다.

광주와 전남교육청은 지난 2022년까지 각각 6천억 원, 1조 원 넘은 기금을 적립했다. 하지만 정부가 재정 지원을 감축했던 지난 2년간 적립 기금은 각각 1,400억 원과 1,600억 원으로 줄었다.

이정선 광주광역시교육감은 "시설 아이들이나 장애인 교육 등에 더 투자해야 되는데, 그런 면에서 지금 가지고 있는 기금은 금방 바닥이 날 거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무상교육 연장을 주도한 야당은 이르면 이번 주 재의결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김문수 국회의원·교육위원회는 "무상교육비까지 떠안으라고 하면 지역 교육이 황폐화되기 때문에 꼭 국가에서 부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표가 필요해 폐기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시도교육청이 고교 무상교육 부담까지 모두 떠맡으면서 지방 교육 재정에 빨간불이 켜졌다.

홍수민

충북도, 가족친화인증기업 최종 선정

충북
충북도가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에 신청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2년 연속 높은 신청율을 보이고 있는 이 사업은 민생경제 회복 및 가족친화 기업문화 조성에 보탬이 될 예정이다.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은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실천하여 인증을 받은 도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저출생률 위기에 대응하고 임신·출산·육아 친화 기업문화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신설한 사업이다.올해 선정된 27개 기업에게는 사업화, 마케팅, 사업기획, 시설현대화 등 총 4억 원 규모와 기업당 1,500만원 한도 바우처 형식으로 기업수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41

보령시, 2025년도 상반기 민방위 교육 실시

충남
보령시는 민방위 대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사이버교육을 실시한다.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며,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는 교육이 일시 중단된다. 올해 교육 대상은 만 20세(2005년생)부터 만 40세(1985년생)까지로, 1~2년차 대원은 집합교육 4시간, 3~4년차 대원은 사이버교육 2시간, 5년차 이상 대원은 사이버교육 1시간으로 진행된다. 교육 내용은 민방위 기본 소양, 안보, 화생방 등으로 구성되며, 교육과 체험 실습을 병행해 재난·재해 발생 시 민방위대의 초동 대처 능력을 배양한다. 집합교육 및 사이버교육을 이수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오경철 안전총괄과장은 “민방위 교육은 민방위 사태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족과 지역사회를 지키기 위한 필수 교육”이라며 참여를 당부했다.
홍수민 2025-04-30 14:46:33

보령시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시행

경제
보령시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사업을 시행한다. 올해는 총 40대의 전기이륜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보령시에 주소를 둔 16세 이상 개인(사업자) 또는 보령시에 사업자 등록을 한 법인·기관이다. 보조금은 전기이륜차 규모와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최대 지원액은 소형 230만 원, 중형 270만 원, 대형 300만 원 등이다.기존 내연기관 이륜차를 폐차하고 전기이륜차로 교체할 경우 최대 지원액 내에서 국비 30만 원이 추가 지원될 예정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