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사업비 1,000만 원 달라” 파문

홍수민 기자
등록일자 2024-10-15 14:35:30
전남도, “사업비 1,000만 원 달라” 파문
전라남도와 한국학호남진흥원이 추진하고 있는 전남종가 음식서 복원사업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호남한국학 진흥원은 전남도의 위탁을 받아 조선시대 남도의 식재료와 레시피를 복원하는 '전남 종가 음식서 복원사업'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번역, 진행, 영상 등 총 4개 부문으로 나뉘어 4명의 전문가들과 각각 용역 계약이 체결됐다.

그런데 연구원 A씨가 다른 부문인 영상 전문가인 B씨에게 사업을 소개하면서, 1,500만 원에 일을 진행할 수 있느냐고 제안했다. B씨는 승낙했고, A 연구원은 1,500만 원을 제외한 나머지 계약금을 자신의 통장에 넣으라고 말했다.

A씨가 요구한 돈이 추가 사업비용인 줄 알았던 B씨는 진흥원과 공식 계약을 체결하면서 계약금이 2,600만 원인 것을 알고 A 연구원에게 나머지 1,100만 원의 사용처를 물어봤다.

연구원 B씨는 "요구하는 금액의 사용처가 이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재현 비용이라고 여겼는데, A씨는 이에 대해 알 필요가 없고 금액만 제공을 해야 된다는 식으로 말했다"고 언급했다. 

책임연구원으로 알려진 A씨는 자신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계약내용을 무시하고 임의로 다른 업체에게 영상 일을 맡겼다.

연구원 A씨는 자신의 업무에 대해 "전체 사업을 진행하고 관리하는 일을 다 하고, 일을 더 많이 하고 더 많이 돌아다니고 있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원 영상계약을 했던 한국학호남 진흥원 관계자는 계약금 요구 논란에 대해 자신은 더 이상 관여하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호남한국학진흥원 관계자는 "여기서 사업 진행 관련 일을 그만둘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최초 사업을 발주한 전남도 담당자는 사업이 잘못 진행됐기에 시정조치한다는 입장이다.

조선시대 남도의 식재료와 레시피 등을 복원하는 이번 사업에 대해 의혹이 갈수록 불거지고 있어 전면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홍수민

충북도, 가족친화인증기업 최종 선정

충북
충북도가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에 신청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2년 연속 높은 신청율을 보이고 있는 이 사업은 민생경제 회복 및 가족친화 기업문화 조성에 보탬이 될 예정이다.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은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실천하여 인증을 받은 도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저출생률 위기에 대응하고 임신·출산·육아 친화 기업문화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신설한 사업이다.올해 선정된 27개 기업에게는 사업화, 마케팅, 사업기획, 시설현대화 등 총 4억 원 규모와 기업당 1,500만원 한도 바우처 형식으로 기업수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41

보령시, 2025년도 상반기 민방위 교육 실시

충남
보령시는 민방위 대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사이버교육을 실시한다.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며,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는 교육이 일시 중단된다. 올해 교육 대상은 만 20세(2005년생)부터 만 40세(1985년생)까지로, 1~2년차 대원은 집합교육 4시간, 3~4년차 대원은 사이버교육 2시간, 5년차 이상 대원은 사이버교육 1시간으로 진행된다. 교육 내용은 민방위 기본 소양, 안보, 화생방 등으로 구성되며, 교육과 체험 실습을 병행해 재난·재해 발생 시 민방위대의 초동 대처 능력을 배양한다. 집합교육 및 사이버교육을 이수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오경철 안전총괄과장은 “민방위 교육은 민방위 사태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족과 지역사회를 지키기 위한 필수 교육”이라며 참여를 당부했다.
홍수민 2025-04-30 14:46:33

보령시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시행

경제
보령시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사업을 시행한다. 올해는 총 40대의 전기이륜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보령시에 주소를 둔 16세 이상 개인(사업자) 또는 보령시에 사업자 등록을 한 법인·기관이다. 보조금은 전기이륜차 규모와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최대 지원액은 소형 230만 원, 중형 270만 원, 대형 300만 원 등이다.기존 내연기관 이륜차를 폐차하고 전기이륜차로 교체할 경우 최대 지원액 내에서 국비 30만 원이 추가 지원될 예정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