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학생 1위 전남, 동아리로 장벽 극복

홍수민 기자
등록일자 2024-07-26 14:18:15
다문화 학생 1위 전남, 동아리로 장벽 극복
전남은 전국에서 다문화 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다문화 학생이 많다 보니 그들의 문화적, 언어적 차이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이중언어 동아리를 통해 서로의 언어를 가르치고 배우면서 차이를 좁혀나가고 있다.

고등학생들끼리 진행하는 토론은 한국어와 베트남어 두 가지 언어 중 서로 편한 말을 사용하면서 진행된다.

다만 뜻 전달이 막히면 서로 잘하는 언어로 상대방의 말을 고쳐주며 대화를 이어 나가고, 언어를 교류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친밀감도 높아진다.

지난해 시작한 '이중언어 동아리'로, 올해 전남에서 모두 48개 학교, 60개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다. 동아리를 통해 학생들은 일본어와 중국어, 베트남어, 캄보디아어 등 다문화 학생들의 언어를 익힌다.

고등학생 2학년 신은비 씨는 "베트남어 배우게 돼서 다른 나라 친구들도 사귈 수 있고, 재미도 있다"고 말했다. 

다문화 학생들은 친구들에게 다른 언어를 가르쳐주며, 한국어를 자연스레 습득한다.

고등학생 2학년 도반투안 씨는 "한국 온 지 3년 안 됐는데, 이 동아리에 참여해서 다른 한국 친구들한테 베트남어 알려줄 수 있고, 한국어 실력도 키울 수 있으니까 유익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언급했다. 

지난해 전남 초중고 학생 가운데 다문화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5.95%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급감하는 전남 학생과, 반대로 꾸준히 증가하는 다문화 학생 간 조화를 위한 교육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심치숙 전남도교육청 다문화국제교육팀장은 "이중언어 교육은 학생들의 정체성과 강점 개발 또 자존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고, 그 차원에서 동아리도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동아리를 통해 서로의 감수성을 익히면서, 한국과 다문화학생 간의 언어 그리고 문화 장벽이 허물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홍수민

충북도, 가족친화인증기업 최종 선정

충북
충북도가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에 신청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2년 연속 높은 신청율을 보이고 있는 이 사업은 민생경제 회복 및 가족친화 기업문화 조성에 보탬이 될 예정이다.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은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실천하여 인증을 받은 도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저출생률 위기에 대응하고 임신·출산·육아 친화 기업문화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신설한 사업이다.올해 선정된 27개 기업에게는 사업화, 마케팅, 사업기획, 시설현대화 등 총 4억 원 규모와 기업당 1,500만원 한도 바우처 형식으로 기업수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41

보령시, 2025년도 상반기 민방위 교육 실시

충남
보령시는 민방위 대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사이버교육을 실시한다.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며,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는 교육이 일시 중단된다. 올해 교육 대상은 만 20세(2005년생)부터 만 40세(1985년생)까지로, 1~2년차 대원은 집합교육 4시간, 3~4년차 대원은 사이버교육 2시간, 5년차 이상 대원은 사이버교육 1시간으로 진행된다. 교육 내용은 민방위 기본 소양, 안보, 화생방 등으로 구성되며, 교육과 체험 실습을 병행해 재난·재해 발생 시 민방위대의 초동 대처 능력을 배양한다. 집합교육 및 사이버교육을 이수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오경철 안전총괄과장은 “민방위 교육은 민방위 사태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족과 지역사회를 지키기 위한 필수 교육”이라며 참여를 당부했다.
홍수민 2025-04-30 14:46:33

보령시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시행

경제
보령시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사업을 시행한다. 올해는 총 40대의 전기이륜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보령시에 주소를 둔 16세 이상 개인(사업자) 또는 보령시에 사업자 등록을 한 법인·기관이다. 보조금은 전기이륜차 규모와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최대 지원액은 소형 230만 원, 중형 270만 원, 대형 300만 원 등이다.기존 내연기관 이륜차를 폐차하고 전기이륜차로 교체할 경우 최대 지원액 내에서 국비 30만 원이 추가 지원될 예정이다.
홍수민 2025-04-30 14:4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