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대 ‘표적감사’…반발 확산

홍경서 기자
등록일자 2023-03-23 17:11:40
광주전남의 미래 핵심 사업이자 지난 정부 최대 성과 중 하나였던 한국에너지공과대학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큰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감사원은 이미 전남도청에서 강도 높은 현장 조사를 벌이고 있다.

광주·전남 국회의원들과 광주시장 등도 감사원 감사에 대해 비판하고 나서는 등 후폭풍이 거세다.

무안군 전남도청의 한 사무실입니다.현장조사에 나선 감사원은 전남도의 관련 공문서를 살펴보고 있으며 당시 담당 공무원들에 대해서도 출석을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 지난 1월부터 전남도에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등 사전감사에 나섰고 최근 정식 감사에 착수했다.

민주당 광주·전남 국회의원들은 감사원의 감사 착수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한전공대 설립 적법성 감사는 한국에너지공대법이 여야 합의로 제정된 만큼 국회 입법권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고 날을 세웠다.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한국에너지공대 흔들기는 우리나라의 에너지산업 경쟁력 확보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자해행위입니다. 국가 발전에 발목을 잡는 자해 감사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합니다." 라고 말했다.

또 "교육부의 설립인가 특혜의혹과 부영CC 특혜 의혹 등은 이미 여러 차례 반박된 억지스러운 주장이라며 이번 감사는 공무원과 학생을 괴롭히는 권력 남용"이라고 비판했다.

소병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정치 때문에 수 백 명의 학생들과 연구자들의 학교 공동체를 뒤흔드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합니다." 라고 말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한전공대는 공개적으로 투명하게 설립됐고 한 점 의혹과 특혜는 없다"면서 "떳떳하고 성실하게 감사를 받겠다"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도 자신의 SNS를 통해 "감사원의 한전공대 설립 적법성 감사는 문재인 정부 정책 지우기를 넘어선 대한민국 인재양성소에 폭탄을 던지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감사원은 31일까지 한전과 산업자원부, 교육부, 나주시를 대상으로 현장 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광주전남 최대 현안이자 숙원 사업이었던 한전에너지공과대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본격 시작되면서 정치감사, 표적감사 반발도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순신 최후가 담긴 비망기, 422년 만에 돌아오다

국가유산채널
이순신 최후가 담긴 비망기 422년 만에 돌아오다 지난 11월 국외로부터 환수된 우리 문화재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이 공개됐습니다 대통력이란 조선시대에 사용하던 달력으로 이번에 공개된 것은 국내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 1600년 경자년의 것이었는데요 그리고 그 안에는 190여 명의 인물에 대한 기록과 그해 일어났던 많은 역사적 사실들이 적혀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놀라운 것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 상황이 담긴 내용이었는데요. 그리고 이는 이순신 장군을 직접 임용한 서애 유성룡 선생이 적은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갖습니다. 422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희귀 대통력. 그안엔 또 어떤 내용이 담겨있을까요? 그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관리자 2025-04-28 17:35:13

조선 수군의 자긍심, 여수 진남관

국가유산채널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승리로 이끌었던 조선 수군의 중심기지, 전라좌수영의 객사(관사)로 세워진 여수 진남관. 68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웅장한 건물은 그 면적만 240평으로 현존하는 지방관아 건물로서는 최대 규모이다. 진남관이 세워진 자리는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수군을 지휘했던 진해루가 있었던 자리로, 이순신 장군이 군령을 내리던 고소대에는 그의 공덕을 기리기 위한 2기의 비석이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 경복궁 근정전 앞뜰에 묻혔던 비석은 제자리를 찾았고, 당시 훼손되었던 진남관 역시 해체 복원을 앞두고 있다. <여수 진남관 방문 정보> 위치 : 전남 여수시 동문로 11(군자동) 연락처 : 관리사무소 061-690-7338 주변 볼거리 : 흥국사, 충민사, 선소유적, 상백도 하백도 일원 관련 홈페이지 : http://www.ystour.kr/kr/main.jsp
관리자 2025-04-28 17:34:47

이순신장군은 고통을 잊기 위해 무엇을 했다?!

국가유산채널
난중일기는 임진왜란(1592~1598)때에 이순신이 친필로 작성한 일기로 연도별 7권이며 이순신의 생애와 마음가짐을 엿볼 수 있다. 이순신이 왜적과 싸우면서 느꼈던 어려움과 고독함을 같이 느끼고 다시금 되새기는 시간을 갖는다.
관리자 2025-04-28 17:3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