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교복값 담합 의혹’…대리점 22곳 압수수색

관리자 기자
등록일자 2023-03-16 17:20:01
검찰 ‘교복값 담합 의혹’…대리점 22곳 압수수색
광주 교복업체들이 납품가 담합을 한다는 의혹이 끊이질 않았다. 

검찰이 광주지역 교복 납품업체 22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담합 업체들이 다른 업체의 낙찰을 막기 위해 학교 측과 미리 결탁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어 수사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말 광주의 한 교복업체가 다른 업체 대표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다.

'광주 시내 협의', '일반업체와 협의' 등 주요 업체들 간 담합이 이뤄져 있으니 입찰에 참여하지 말 것을 종용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현재 중·고등학교의 교복은 입찰로 가장 낮은 금액을 제시한 교복 공급 사업자를 정하는 방식이다.

교복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2014년부터 시행돼 왔다.

하지만 일부 교복업체들이 서로 짜고 입찰 금액을 정해 최대한 비싼 가격에 낙찰을 받아간다는 의혹이 끊이질 않았다.

광주지검은 광주 교복 대리점 22곳과 점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대리점주 22명을 입찰방해혐의로 조사 중에 있다.

이들은 지난 2021년부터 올해 초까지 광주 중고교 교복 공동 구매 과정에서 41차례에 걸쳐 낙찰자와 입찰 금액을 담합한 혐의를 받고 있다.

실제로 올해 입찰이 완료된 중·고교 43곳 중 절반 이상에서 1·2순위 업체들이 불과 1천∼1만 원 차이로 입찰 가격을 넣은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교복업체는 담합업체들이 학교 측과 결탁해 낮은 가격으로 입찰하는 비담합업체를 부적격업체로 몰아 탈락시킨다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A 교복업체는 "공공연하게 자기들이 '어디 학교는 누구 것이다. '이야기를 하고 다니는 거예요. 그러니까 제가 일부 학교 가서 항의도 해요. 그래도 (저희 업체를) 부적격시키고 개찰하면 또 97%, 98% (비싼 교복이) 낙찰이 되는 거죠." 라고 말했다.

검찰이 일부 혐의에 대한 조사를 끝내고, 압수수색까지 진행한 만큼 말만 무성하던 광주 지역 교복 입찰 담합의 진실이 곧 드러날지 관심이다.

이순신 최후가 담긴 비망기, 422년 만에 돌아오다

국가유산채널
이순신 최후가 담긴 비망기 422년 만에 돌아오다 지난 11월 국외로부터 환수된 우리 문화재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이 공개됐습니다 대통력이란 조선시대에 사용하던 달력으로 이번에 공개된 것은 국내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 1600년 경자년의 것이었는데요 그리고 그 안에는 190여 명의 인물에 대한 기록과 그해 일어났던 많은 역사적 사실들이 적혀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놀라운 것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 상황이 담긴 내용이었는데요. 그리고 이는 이순신 장군을 직접 임용한 서애 유성룡 선생이 적은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갖습니다. 422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희귀 대통력. 그안엔 또 어떤 내용이 담겨있을까요? 그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관리자 2025-04-28 17:35:13

조선 수군의 자긍심, 여수 진남관

국가유산채널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승리로 이끌었던 조선 수군의 중심기지, 전라좌수영의 객사(관사)로 세워진 여수 진남관. 68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웅장한 건물은 그 면적만 240평으로 현존하는 지방관아 건물로서는 최대 규모이다. 진남관이 세워진 자리는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수군을 지휘했던 진해루가 있었던 자리로, 이순신 장군이 군령을 내리던 고소대에는 그의 공덕을 기리기 위한 2기의 비석이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 경복궁 근정전 앞뜰에 묻혔던 비석은 제자리를 찾았고, 당시 훼손되었던 진남관 역시 해체 복원을 앞두고 있다. <여수 진남관 방문 정보> 위치 : 전남 여수시 동문로 11(군자동) 연락처 : 관리사무소 061-690-7338 주변 볼거리 : 흥국사, 충민사, 선소유적, 상백도 하백도 일원 관련 홈페이지 : http://www.ystour.kr/kr/main.jsp
관리자 2025-04-28 17:34:47

이순신장군은 고통을 잊기 위해 무엇을 했다?!

국가유산채널
난중일기는 임진왜란(1592~1598)때에 이순신이 친필로 작성한 일기로 연도별 7권이며 이순신의 생애와 마음가짐을 엿볼 수 있다. 이순신이 왜적과 싸우면서 느꼈던 어려움과 고독함을 같이 느끼고 다시금 되새기는 시간을 갖는다.
관리자 2025-04-28 17:3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