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채널


국가유산채널
신라의 은밀한 그곳 수세식 화장실의 비밀
2017년 동궁과 월지 일대에서 발견된 의문의 돌 한 쌍!! 그리고 이번에 함께 발견된 이것! 신라의 기술력이 담긴 새로운 비밀을 밝혀드립니다~!
관리자 2024-12-09 10:45:04

국가유산채널
K-ASMR 화혜장, 신에 꽃을 담다
한복 치마 끝에 살짝 드러나는 꽃신은 전통 한복 패션의 완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지, 명주천, 가죽 등 다양한 평면적인 재료들이 결합되어 입체적인 아름다운 꽃신이 되는 순간은 감탄을 자아내게 만듭니다. 4대째 가업을 이어오고 있는 안해표 장인의 정신과 전통 신발의 아름다움을 만나봅시다.
관리자 2024-12-09 10:44:26

국가유산채널
정말 명창들은 피를 토하면서 득음했을까
조선 최고의 예술 판소리 그리고 소리꾼들의 노력을 살펴본다. 득음하기까지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보고 판소리의 예술성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관리자 2024-12-06 09:50:05

국가유산채널
풍납토성에 숨겨진 'H빔'의 과학
새롭게 밝혀진 풍납토성의 비밀?! 그리고 발굴 현장에서 발견된 의문의 항아리 정체불명의 동물 유체까지? 풍납토성에 숨겨진 'H빔'의 과학!
관리자 2024-12-06 09:49:40

국가유산채널
장(醬) 담그기
출연자 : 이정숙 /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 이수자 한국 음식의 맛은 장이 결정한다고 할 정도로 옛 조상들은 장맛이 좋지 않으면 좋은 재료를 사용해도 좋은 요리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래서 집집마다 장 담근 항아리에 버선과 금줄을 걸어 잡귀를 쫓고 장맛이 좋기를 기원했다. 또 궁중에서는 장독간 관리하는 상궁을 따로 두고 세심하게 살필 만큼 장은 그 자체로 하나의 중요한 음식이었다. 오랜 시간과 정성이 빚어낸 한국 음식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전통 장을 만들어 본다. The old ancestors in Korea
관리자 2024-12-06 09:49:13

국가유산채널
신라 불교의 성지 흥륜사지 '대형 금당지' 발굴
신라에 세워진 최초의 가람 경주 흥륜사지 발굴 현장~! 그런데... 흥륜사에서 대형 금당 터가 발굴됐다?
관리자 2024-11-25 11:31:01
![[STEP 5 STEP] 한국의 괴물(귀신전문가 곽재식 박사)](/data/jjc/image/2024/11/25/jjc202411250002.jpg)
국가유산채널
[STEP 5 STEP] 한국의 괴물(귀신전문가 곽재식 박사)
듣기만 해도 어마무시하고 오싹한 인상을 주는 '괴물'. 하지만 세상에 무서운 괴물들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괴물도 각양각색으로 여러 모습을 띄는데... 우리가 몰랐던 괴물의 정체, 괴물 전문작가 곽재식 작가가 다섯 단계의 사람들에게 괴물에 대한 오해를 풀기 위해 나섰다!
관리자 2024-11-25 11:30:34

국가유산채널
K-ASMR 목조각장, 떡살에 염원을 새기다
목조각장은 떡살, 다식판을 만드는 문양각 기능으로서 불상조각기법과 다른 우리생활에 필요한 전통 민속 조각기법으로 생활이나 풍습에 관계가 있고, 문화적인 측면이나 미술사적으로 우리 생활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전통조각기술입니다. 예로부터 명절, 결혼, 돌, 환갑 등 각종 행사에 빠지지 않았던 우리 민속음식 떡. 조상님들은 잔치떡에는 아름다운 꽃무늬, 사돈이나 친지에게 보내는 떡에는 부귀와 수복을 뜻하는 길상무늬, 단옷날의 수리취절편에는 수레무늬 등 떡살의 문양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어서 좋은 일, 궂은 일, 돌, 회갑 등 용도에 따라
관리자 2024-11-25 11:30:05

국가유산채널
80여 마리 공룡이 한 장소에 나타난 이유는?
경상남도, 전 세계 지질학자들이 이곳에 모인 이유는? 여든한 마리 공룡이 지나간 보행렬이 발견되었다? 외국 석학들도 놀라움을 금치 못했던 1억 년 전 그날, 세계에서도 유례 없는 역사의 현장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관리자 2024-11-18 13:24:20
![[STEP 5 STEP] 법의학(법의학자 이호)](/data/jjc/image/2024/11/18/jjc202411180002.jpg)
국가유산채널
[STEP 5 STEP] 법의학(법의학자 이호)
알 수 없는 이유로 세상을 떠나는 사람들은 많으며, 그 이유를 알기 위해 쉬지않고 노력하는 법의학도들. 과연 죽음에는 어떤 이유들이 숨겨져있을까? 그 이유들을 찾기 위한 선조들의 노력부터, 그 노력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이루어진 성과를 법의학 교수가 알기 쉽게 설명한다.
관리자 2024-11-18 13:23:52

국가유산채널
각자장, 꽃무늬를 새기다
각자장은 나무, 구리, 돌 등의 다양한 재료에 글씨나 그림을 새기는 장인으로 예로부터 대량 인출(印出, 책판(冊板)에 박아 냄)이 필요한 서적을 만들기 위하여 책판의 글자나 그림을 새졌다. 또한 책판의 관리와 보수, 복원을 전담하였다. 각자와 장문의 글자, 세밀한 그림을 그린 판하본을 제작하고, 책판을 제작할 목재를 건조한 후 마름질을 거쳐 글자를 새기고, 마구리를 조립하여 초벌을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초벌 책판의 교정 과정을 거쳐 인출한 후 장책(粧冊, 책을 꾸미어 만듦)하여 완성한다. 더불어 책판 전통 새김 기법 등의 끊임없는
관리자 2024-11-18 13:23:21

국가유산채널
1억 년 전 공룡들이 절벽을 오른 이유는?
공룡들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곳 경북 청송군 신성리 그런데..! 400여 개의 공룡 발자국이 절벽에서 발견되었다?! 과연 1억 년 전 그날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관리자 2024-11-15 09:35:03
![[STEP 5 STEP] 등대(등대연구소장 박상건)](/data/jjc/image/2024/11/15/jjc202411150002.jpg)
국가유산채널
[STEP 5 STEP] 등대(등대연구소장 박상건)
어떻게 보면 높은 곳에서 빛을 쬐는 단순한 구조물일지언정 이 단순한 구조물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위험에서 건져냈는지. 등대의 내면으로 들여다볼수록 더욱 복잡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데... 섬문화연구소 박상건 시인이자 소장이 등대가 가진 매력을 다섯 단계의 사람들에게 풀어나가는 시간을 가진다.
관리자 2024-11-15 09:34:37

국가유산채널
K-ASMR_악기장,_천년의_울림을_만들다
악기장: 장구·북·단소·가야금·거문고 등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술 또는 그 기능을 가진 사람 호남농악의 발상지인 전북지역은 수준 높은 풍물악기의 제작 및 보급이 원활한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구는 대표적인 리듬악기로 고려 때 중국 송나라로부터 수입되어 오늘날까지 여러 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서인석 장인은 할아버지부터 3대째 우리 악기를 계승 발전시켜 왔습니다. 악기가 만들어지는 소리를 함께 감상해 보시죠.
관리자 2024-11-15 09:34:07

국가유산채널
100여 년 만에 재발굴 김해 구산동 고분군
옛 금관가야의 중심 김해 구산동 고분군 발굴 조사 현장에서 뭔가가 발견됐다? 고고학계를 발칵 뒤집은 천장 글씨에 담긴 비밀은?
관리자 2024-11-05 10:12:48
![[STEP 5 STEP] 역관](/data/jjc/image/2024/11/05/jjc202411050002.jpg)
국가유산채널
[STEP 5 STEP] 역관
요즘 들어 한국에서 외국어 교육이 심화되고 있다고 하지만, 이는 이미 옛날 얘기에 불과하다. 한참 조선 시대까지 돌아가는 이야기일수도 있다. 타국의 말을 배우고 씀으로써 부를 누린 조선 시대의 역관. 고등학교 교사 김준우가 어떻게 이를 다섯 단계의 사람들에게 눈높이를 맞추어 설명할 수 있는지 보도록 하자.
관리자 2024-11-05 10:12:21

국가유산채널
자연유산의 보고, 동강과 서강
강원도 영월군에는 2개의 강이 만나 서울로 흘러가는데, 태백에서 정선을 거쳐오는 강을 ‘동강’이라 부르고, 평창에서 오는 강을 ‘서강’이라 부른다. 강의 거친 물살은 땅을 파고, 바위를 깎는다. 이런 침식 작용은 절경을 만들어 내기도 하는데, 본 영상에선 두 강가에 걸쳐진 ‘명승’들을 소재로 그 아름다운 풍광을 소개하고자 한다.
관리자 2024-11-05 10:11:52

국가유산채널
한 무덤 속 두 개의 분묘, 알고 보니 다른 시대 사람들?!
울산광역시 북구의 한 유적지. 이곳은 주택 개발을 위한 매장문화재 발굴 조사가 이뤄진 곳입니다. 총 3년여에 걸쳐 이뤄진 발굴조사. 그 결과는 상당히 뜻밖이었는데요. 청동기유적이 많이 발견되는 울산에서는 드물게 삼국, 고려, 조선시대 유물이 동시에 발견된 것입니다. 특히 청동기 주거지터에 형성된 고려, 조선시대의 분묘가 조사단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분묘가 중복돼 발견되는 경우는 종종 있었지만, 비교적 좁은 공간에 이토록 많은 유구들이 발견되는 건 흔한일은 아니기 때문인데요. 조사단들은 이곳이 과거 사람들이 살기 좋은 혹은 살고
관리자 2024-10-28 10:44:11

국가유산채널
예학의 정수를 만나다 -돈암서원
돈암서원은 1634년에 창건 되었다. 조선 중기의 유학자 김장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웠으며, 1660년에 사액된 충청도 지방의 대표적인 서원이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보존된 전국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1993년에 사적 제383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건물은 강당인 응도당과 동재, 서재, 사당, 장판각, 양성당 등이 있다. 이 중 사우에는 김장생을 주향으로 하고 그의 아들 김집 노론의 거두 송준길과 송시열 등을 배향하였다. 또 장판각에는 김장생, 김집, 김계휘의 문집 등이 보관되어 있다.
관리자 2024-10-28 10:4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