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의 원조를 묻는다면 모두가 판소리라 외칠 것이다! 하지만 판소리가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답할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 의문에 해답을 가지고 온 오늘의 소리꾼 유태평양. 그는 판소리의 원천, 본질에 대해 어떻게 다섯 세대의 출연자들에게 설명할 것인가?
기와는 이미 삼국시대에 다양한 종류가 발견될 만큼 건축물의 지붕을 덮는 용도로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건축재료였습니다. 전통 건축의 멋스러움을 살려주는 기와, 그 기와를 만드는 장인을 ‘제와장’이라고 합니다. 기와는 지붕에 덮어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잘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 밑 목재가 썩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적인 측면도 있지만,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돋보이게 만드는 심미적인 효과도 뛰어나 한때 권위와 부를 상징하는 척도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전통방식을 지키며 수제기와를 만드는 김창대 제와장의 작업 과정을 통해 제
요즘 들어 한국에서 외국어 교육이 심화되고 있다고 하지만, 이는 이미 옛날 얘기에 불과하다. 한참 조선 시대까지 돌아가는 이야기일수도 있다. 타국의 말을 배우고 씀으로써 부를 누린 조선 시대의 역관. 고등학교 교사 김준우가 어떻게 이를 다섯 단계의 사람들에게 눈높이를 맞추어 설명할 수 있는지 보도록 하자.
흑두루미는 우리나라 겨울철새이며, 과거에는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습지가 우리나라 흑두루미의 최대도래지였으나, 1990년부터 전라남도 순천만에 도래하는 월동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현재는 순천만이 우리나라의 흑두루미 최대도래지이고, 충청남도 천수만에 지속적으로 도래하여 월동하고 있다. 순천만과 천수만을 주 무대로 월동하는 흑두루미 생태를 함께 살펴보자.
방짜 유기는 순수구리 78%, 순수 주석 22%의 합금 비율을 정확히 지켜서 녹인 후 메로 두드리는 방짜(‘두드리다’의 순우리말) 기법으로 만들어진다. 넓게펴기(네핌질), 우그리기(우김질), 떼어내기(냄질), 당기며 쳐서 늘이기(닥침질), 다듬기(제질) 및 담금질, 변형 바로잡기(벼름질)와 깎아내기(가질)의 순서를 따르며 4∼5명, 많게는 10여 명이 한 조로 작업한다. 방짜 장인들이 호흡을 맞춰가며 우리 전통 악기 징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만나본다.
상대적으로 좁은 땅에 살아왔던 민족으로서 공룡은 드넓은 대륙을 날뛰는 존재로만 여겨왔는데... 대한민국에도 공룡의 흔적이 남아있었다고? 전국팔도에서 발견되고 있는 공룡의 흔적, 그리고 그 공룡들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자연유산 전문가 임종덕 연구가가 다섯 세대의 사람들에게 알기 쉽게 풀어나간다.
○ 재두루미가 사는 곳 – 철원, 한강하구, 주남저수지 그리고 일본 큐슈 이즈미 등에서 월동한다. ○ 재두루미의 외형적 특징 – 몸길이 127cm, 몸은 회색이고, 첫째날개깃과 둘째날개깃은 검정색이나 샛째날개깃은 회색이다. 부리는 노란색이고, 눈은 붉은색이며, 눈 주위에는 붉은색의 피부가 나출되어 있다. 다리는 다른 두루미종과 다르게 분홍색을 띈다
한복의 손바느질 중에서도 가장 정성이 담긴 누빔옷은 특별하다. 누빔옷은 겉과 안이 고르게 완성되어야 그 솜씨를 인정받을 만큼, 이를 위해 오랜 시간과 작업자의 정성이 필요하고, 천의 연결 자국과 솔기가 없어 부드럽고 편안하며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옷이었다. 그래서 누빔옷은 단순히 의복을 넘어 정성과 정교함이 깃든 하나의 예술 작품이라 할 수 있었다. 한 땀 한 땀 가족을 생각하며 바느질했던 어머니의 사랑을 생각하며 장인의 손누빔 저고리 제작 과정을 함께 만나본다.
○ 두루미가 사는 곳 -우리나라의 철원, 연천, 강화도 갯벌등 DMZ지역에서 월동 ○ 아무르강 유역과 우수리강 유역을 포함한 러시아 남부지역 및 중국 동북부 지역, 몽골 동부지역에서 번식하고, 중국 황하강 삼각주지역 및 샨시성과 우리나라의 철원, 연천, 강화도 갯벌등 DMZ지역에서 월동한다. ○ 강원도 철원군, 연천군 그리고 경기도 파주시, 인천광역시 강화도 등에 규칙적으로 도래하는 겨울철새이다. ○ 철원 한탄강과 강화도 갯벌을 중심으로 하는 두루미 월동 생태 ○ 인터뷰
정동벌립은 테우리(‘목동’의 제주말) 또는 농부들이 일할 때 쓰던 제주도 전통 모자로서 제주도 일원, 특히 산간에서 자라는 정동(댕댕이덩굴)을 엮어서 패랭이와 비슷한 모양으로 만든 모자다.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정동벌립 보유자 홍양숙 장인의 맨손으로 작업하는 숙련된 솜씨와 투박하지만 정성스럽게 만들어진 모자 속에 담긴 제주민들의 강인한 생활력을 느낄 수 있다.
조선 시대에도 재테크가 있었다고? 가상화폐 시대로 도래했지만 변하지 않는 것은 금전의 개념. "어떻게 자산을 효과적으로 운용하지?"라는 질문은 이미 조선시대부터 시작되어 연구의 주제가 되었는데... 주식 투자가 최고민수가 다섯 단계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어떻게 조선의 재테크를 풀어나가는지 귀기울여 들어보자.
2025년 을사년 '푸른 뱀의 해'를 맞아, 상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뱀의 다양한 모습을 탐구해보는 건 어떨까요? 뱀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신화, 전설, 종교 등에서 독특한 상징으로 등장해왔습니다. 동서양 문화권에서 양면적 이미지를 지닌 '뱀'의 상징성을 살펴보고, 고구려 고군 벽화부터 조선시대 산광수색까지, 문화유산 속에 담긴 뱀의 흔적과 그 의미를 함께 알아봅시다. 또한, '뱀'과 관련된 다양한 꿈 해몽을 통해 우리 삶 속에서 뱀이 전하는 메시지를 이해해보는 건 어떨까요? 오랜 세월 인간과 함께해 온 뱀. 다가오는 '푸른 뱀의 해
고구려 영토 최남단을 알려주는 충주 고구려비 아버지 광개토대왕이 북진정책으로 영토를 넓혀갔다면 장수왕은 한강 이남 지역으로 끊임없이 영토를 넓히는 남진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장수왕의 남진은 백제-신라-가야-왜 4개국이 뭉치지 않으면 막을 수가 없는 지경에 이르렀고 이런 위협 속, 백제 개로왕은 북위에 밀서를 보내 고구려를 침략해 달라고 요청하게 됩니다.